git remote -v 위의 명령어로 확인해주면 예전의 url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새 url로 연결해주려면 git remote set-url 을 사용하면 된다 git remote set-url origin "변경된 주소" 다시 git remote -v로 확인해보면 잘 반영된 것을 볼 수 있다.
please see https://docs.github.com/en/get-started/getting-started-with-git/about-remote-repositories#cloning-with-https-urls for information on currently recommended modes of authentication. 어라 분명 예전에 토큰 발급 받아서 비밀번호로 입력 했는데 왜 다시 또 뜬걸까? ..... 토큰을 60days로 설정하여 만료된 것이었다... 다시 Settings에 들어가준다. 맨 밑에 보면 developer settings가 있을 것이다. Tokens(classic)에 들어가서 Generate new token을 클릭하여 다시 발급해준다! 나는 이렇게 설정해주었다...
일단 이전 commit 내역들을 확인해준다 git log 되돌리고 싶은 곳의 commit id를 기억해두고 commit 삭제를 해준다. git reset --hard "되돌리고 싶은 커밋 ID" --hard 옵션은 코드를 commit했을 때의 상태로 아예 되돌려준다. ※ 참고로 rest HEAD^ 은 바로 전 커밋 삭제이다. 레포지토리에 push 된 커밋도 삭제해야하는데 git push -f origin "지금 branch"
git fetch --all git reset --hard origin/main 이렇게 하면 원격 레포지토리에 있는 내용들로 덮어쓰기가 된다! 뭔가 잘못되었는데 갑자기 뭘 추가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때 사용해주면 좋다!